컴퓨터공학/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실기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1

연봉1000억 2024. 1. 25. 23:58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시험과목은 '네트워크 일반, TCP/IP, NOS, 네트워크 운용기기'로 총 50문항이며, 실기는 'LAN 전송매체, 네트워크 설계/구축, TCP/IP, NOS, 네트워크 운용기기' 과목으로 작업, 서술, 선택형으로 시행되며 시험 시간은 약 80분이다.

 

https://www.icqa.or.kr/cn/

 

(사)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고객센터 02-7450-500 Fax.02-7450-320 E-mail.Web_master@icqa.or.kr

www.icqa.or.kr

 

필기 및 실기 시험 접수 사이트

https://www.comcbt.com/xe/jf/7068310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제 및 CBT 2023년 11월 05일(3회)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 기출문

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전자문제집 CBT 서버에 접속 됩니다. (해설, 모의고사, 오답노트, 워드, 컴활, 기능사 등 상설검정 CBT 프로그램 기능 포함) 전자문제집 CBT란? 종이 문제집이 아닌 인터넷으

www.comcbt.com

 

네트워크 관리기사의 기출문제를 중심으로 필기 범위를 우선 공부하고
시험에 잘 나오는 영역/ 잘 안나오는 영역을 구분해서 빠르게 취득하려고 한다.  

네트워크관리사2급20231105(교사용).pdf
0.14MB

 

기출 문제가 있고 기출문제에 대한 정답이 있다. 그렇다면 블로그 트레픽에도 기출문제가 있고 정답이 있을까?

1. 시험에서 합격하는 방법과 범위

시험 범위 확인 - 시험 범위 내 개념, 단어 학습 - 기출문제 - 기출문제 범위 - 그외의 영역에서 출제되는 비율이 높다면  따기는 어려워진다. 만약 이런 문제가 나온다면 찍어서 맞추거나 상위 자격증 시험 범위 적용되는 영역을 공부하면 될 것이다. 이처럼 상위 영역을 공부하기 위해서 하위 개념을 배우는데 상위 영역에서 문제를 낸다면 일반적인 학습자들은 맞추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예를들어 이걸 블로그 키워드 맞추기로 비유하면 다음과 같음.

 

-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면 인터넷에 검색하는 사람들이 모르는 시장이 될 가능성이 높은 분야

-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가 플렛폼별로 데이터 수가 적다면 신규 시장일 가능성이 높음

-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가 플렛폼별로 데이터 수가 많다면 이미 존재하는 시장.

- 검색했을 때 검색 결과가 플렛폼별로 데이터 수가 이미 많고 증가량이 적다면 인기가 떨어지는 시장.

 

즉, 가장 많은 정보를 가지고 흐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사람들은 플렛폼에서 일하는 개발자 직군이다.
그러나 자체 플렛폼을 가지고 있는 회사는 많지 않으며 그런 사람이 굳이 콘텐츠를 생산할까?

 

이미 트레픽이 생긴 분야에서 어떤 사람들을 타겟으로한 새로운 수요를 만들 것인가를 생각해봐야 한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을 취득하려는 사람이 검색을 할 것이고 검색하는 주 목적이 학점이라면 이에 대한 정보를 잘 정리해서 블로그로 작성하면 된다. 그런데 항상 블로그를 쓰는 입장에서 없는 분야의 글을 쓰는 것은 찾아 쓴다는 건 매우 어렵다.

 

왜냐하면 일단 그 키워드를 찾아내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우며 찾아낸다고 해도 자기가 그런 정보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어떤 방법을 써야 하냐면 다양한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가 트레픽을 움직이는 사람들을 찾는 것이다. 맨 처음 새로운 것들 가져오는 사람이 될 수 없기 때문에 선두 그룹에 최대한 빠르게 합류 하는 방법으로 진입점을 찾는 것이다.

 

또한 한국인이 대상이기 때문에 고정적인 트레픽 시장이 작으며 잘 쓴다고 해야 정보 수요의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어서 큰 차별점을 가지기 어렵다. 이런 경우 유의미한 트레픽을 가지기 어렵다. 즉, 정보 우위를 가진다고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그러한 정보들이 스택을 쌓고 내가 나중에 성과를 가지는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합격 수기, 컴활 1급 합격 수기...을 쓸 때 점점 블로그가 풍성해질 것이고 다른 사람에게 무언가 말하거나 질문할 때 좀 더 제대로 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트레픽에서 돈을 버는 사람은 네트워크 관리사 책과 강의를 파는 사람들이다. 출판사마다 수많은 자격증 분야의 책들을 기획해서 만드는 데 일반적으로 굳혀지거나 브랜드가 생긴 책이나 시리즈로 파는 경우가 많다. 이 자격증이 생긴지 꽤 오래 되었고 변경점들이 있을 것이다.

 

즉, 책을 구매하려는 사람들의 시장을 만드는 주체는 자격증 문제를 만드는 기관, 이러한 자격증의 수요를 만드는 대학교가 있는 것이다. 자격증으로 돈을 번다는 것은 이제 최상위 전문직 자격증이 아니면 공부하는 용도로 쓰이게 되었다.

 

 

한편 개발 문서를 작성하는 것과 컴퓨터 공학 공부를 작성하는 것에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어떤 식으로 글을 작성해야 이후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생산할 수 있을까? 해당 분야에서 정리를 잘하는 수많은 블로거들이 있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이 아니여도 포스팅을 잘하는 사례를 참고해 조금씩 글을 쓰는 능력을 길러야겠다.

 

실제 시험 문제의 출제 과목 순서는 다음과 같다.

 

1과목 TCP/IP

2과목 네트워크 일반

3과목 NOS

4과목 네트워크 운용기기

 

하지만 교과서에서는 네트워크 일반 - TCP/IP - NOS - 네트워크 운용기기 순서로 되어있다.

 

네트워크 관리사 2급에 대한 무료 강의가 있지만 이론적인 기초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나는 컴활1급을 따지 않았지만 평소에 컴퓨터에 관심이 많아서 그렇게 어렵지는 않았다. 만약 자신이 네트워크 관리사에 대한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하겠다면 단어 위주로 공부하거나 컴활을 먼저 공부하는 걸 추천한다.

 

아니면 네트워크 관리사 2급 기출문제 중 해설집을 가지고 공부하거나 자신이 모르는 단어들을 검색해서 따로따로 찾아가며 공부하면 될 것이다. (모르는 분야에서 독학을 하는 삽질 방법. 이러한 공부법으로 공부하면 굉장히 오랜 시간 기억에 남게 되는데 정리를 잘 해둬야 나중에 필요할 때 꺼내 볼 수 있다.) 


 

2과목 : 네트워크 일반


 

다른 블로그나 요약본을 검색하면 네트워크 일반에 대한 내용을 공부할 수 있는데 웬만하면 책을 사는 것을 추천한다. 

 

 

Part 1. 네트워크 일반 / Section 1. 네트워크 개요

Point 1. 네트워크 (Network)1 ) 네트워크 개요

velog.io

 

1-1 다양한 네트워크의 종류 

PAN(Person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BAN(body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VLAN(Virtual LAN), ASN(Auto System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 눈에 보이지 않는 네트워크가 어떻게 우리 주의에 존재하는 지 보다는 통신 범위나 노드의 갯수, 네트워크 망의 범위를 기준으로 분류를 먼저 한다. 모든 단어가 영어로 적혀 있으며 사실 그렇게 어려운 의미는 아니다. 사람 신체 내부/외부에 따른 분류, 무선이냐 유선이냐에 따른 망 분류, 지역 범위에 따른 분류(가정, 사무실, 학교, 도시, 국가, 대륙), 현실에 존재하는 하드웨어, 인프라 단위로 분류 하여 내가 어떤 위치에 있는 망에 접근할 수 있고 상위, 하위의 망이 어떤 것들로 구분되는지 파악 하는 것이 목적이다.

 

즉, 내가 현재 어떤 통신기기로 어떻게 인터넷 망에 연결되어 다른 통신 기기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알기 위해선 자신의 물리적 위치에 기반한 네트워크 망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누군가에게 편지를 보낸다면 그 사람의 이름과 집주소를 모르면 편지를 못 보낸다.

 

또 내가 하는 일은 편지를 쓰고 우편함에다가 넣는 것인데 우체국은 전국에 있으며 각지의 택배부가 배달을 한다. 왜 이렇게 편지를 보내는 것일까? 내가 가서 편지를 전하는 것보다 이미 존재하는 통신망을 통해 전달하는 게 더 싸기 때문이다.  과거에 비해 많이 사용하지 않지만 아직까지도 법적으로 등기우편이 필요하고 여러가지 법적 상황에 따라 통지를 해야 인정 받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과정은 물리적인 과정에 의해 진행 되는데 인력을 기반으로 정보를 옮기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가장 싸게 정보를 주고 받는 방법이 가장 빠른 속도를 가지고 있는 빛을 이용해서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것이고 이 빛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선 전기가 필요하며 이 때문에 전기 에너지가 없다면 통신은 이뤄지지 않는다. (이러한 원리를 자세하게 알고 싶다면 광섬유의 원리를 검색하면 된다.)

 

1-2 실생활에서 보는 네트워크 환경들

1-2-1 [LAN -가정집] 한국 통신사와 해외 통신사로 네트워크를 쉽게 구축할 수 있다.

우리가 흔히 보는 인터넷 모뎀이 있고 공유기가 있다. (왼쪽 공유기, 오른쪽 모뎀)
시중에 파는 공유기이다.

 

흔히 보는 랜 케이블들이 있다.

    

 

2024년 출시 예정이라고 하지만 아직 모르는.. 스타링크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의 인공위성과 연결 되는 안테나이다.

 

https://lazyadmin.nl/home-network/home-network-diagram/

 

Home Network Diagram - All Network Layouts Explained

All possible home network layouts explained. The pros and cons, plus stunning Home Network Diagram that you can use as an example

lazyadmin.nl

 

https://www.edrawsoft.com/kr/ad/brand-edrawmax-1.html?gad_source=1&gclid=Cj0KCQiAqsitBhDlARIsAGMR1RjvJnQNmKtknFRtngW7w7YLs7QqoYpPWzeImd_bbUg6AHeIyYZ_2yEaAjADEALw_wcB

 

EdrawMax(이드로우 맥스)-공식 사이트

EdrawMax는 플로우 차트, 조직 차트, 네트워크 다이어그램, 건물 디자인, 과학 일러스트레이션, UML 다이어그램, 전기 공학 다이어그램 등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된 프로패셔널한 올인원

www.edrawsoft.com

 

https://www.drawio.com/

 

draw.io

Security-first diagramming for teams. Bring your storage to our online tool, or save locally with the desktop app. No login or registration required.

www.drawio.com

 

https://www.edrawsoft.com/kr/article/how-to-create-network-topology.html

 

Introducing EdrawMax 10

Plan, brainstorm or design anything, faster

www.edrawsoft.com

 

집 내부의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은 정말 쉽지만 더 많은 기기와 더 많은 사용자, 더 많은 노드(통신기기)들이 추가될 때 네트워크 구성을 어떻게 해야할지 그리고 어떤 장비들을 써야 할지, 어떤 요금제가 좋을지 수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예를들어 집을 생각하면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제공하는 모뎀에서 출발하여 공유기를 따로 사고 분리하여 여러 대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일단 ISP에 가입을 했을 때 최대 2개의 컴퓨터만 사용가능 할 수 있다고 하며 3대 이상을 사용하면 인터넷 접속이 차단된다고 되어 있다.

항상 논란이 되는 인터넷 추가 단말 서비스

 

그런데 생각을 해보면 WIFI을 쓰게 된다면 휴대폰도 결국 컴퓨터이고 노트북도 무선 연결이 되어 PC(Personal Computer)라고 할 수도 있는데 왜 안된다고 하며 월 5,500원을 1대당 더 내라고 하는 것일까? 이것은 인터넷을 잘 모르는 사람들을 타겟으로 한 상술일까? 아니면 진짜 이렇게 해야할까?

 

KT의 인터넷 요금제이다.
데이터 사용량에 제한은 없지만 일일 제공 데이터를 초과하면 최대 100Mbps 속도로 제공한다고 되어 있다.
모뎀과 같이 파는 공유기의 사양인데 동시 접속자 수가 100명이라고 되어 있다.

 

사실상 주 모뎀에서 연결하는 PC의 갯수를 최대 2개로 정한 것이며 공유기로 넘어가면 이론상 100명이 넘는 사람이 하나의 인터넷 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사실 집에서 컴퓨터를 이론상 100대를 넘게 굴릴 수 있는 건데 문제는 그만큼의 공간이 가정집에서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다수의 컴퓨터가 하나의 망을 나눠서 쓰기 때문에 인터넷 속도가 떨어지는 급격히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다.

 

예를들어 10의 속도 10의 데이터가 일정하게 제공되는 물 줄기가 하나 있는데 그 물 줄기를 100개로 나눠서 쓰면 당연히 100/10으로 나눠지게 되며 각각의 물 줄기가 갑자기 커졌다가 줄어든다면 어떤 곳은 아예 물(데이터)이 안들어가고 통신이 마비될 것이다.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프로토콜의 데이터 흐름 제어(Data Flow Control) 기능이 있다. 하지만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네트워크 구성을 한 상태이기 때문에 각 PC의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큰 의미는 없다. 집이 아닌 다른 곳들의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서 네트워크 내 사용자의 데이터 사용량, 목적 등에 따라 적절한 네트워크 구성이 필요하다.

 

1-2-1 [LAN - PC방] 

KT 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망 구축 서비스 (학교, PC방, 기업 등등 수많은 네트워크)
L3 스위치 장비를 설치해주지만 업장 내 회선은 업주가 직접 구성해야 한다.
L3 스위치라는 장비를 사용한다. 모뎀과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이를 이해하기 위해선 OSI 7 계층을 알아야 한다.

 

 

https://motelpcbang.modoo.at/?link=efpkk1hx

 

[모텔PC방닷컴 - 기가랜] [모텔속의PC방] 아이릭스 노하드

PC로 넷플릭스 동영상 배그 게임을...24시간케어센터

motelpcbang.modoo.at

PC방에서의 노하드 기가 선로를 구축한 사례이다. 하지만...

 

https://quasarzone.com/bbs/qb_free/views/7614249

 

피시방 노하드 시스템은 오히려 한번에 다털립니다.

56만건 해킹당한 피시방들도  노하드시스템 사용중이였고

quasarzone.com

 

업체에서는 수많은 PC의 하드디스크를 한번에 관리할 수 있어서 비용 절감이 된다. 그리고 중앙 관리 솔루션으로 관리자 입장에선 한번에 관리하기가 쉬워진다. 또 컴퓨터가 종료될 때 초기 설정된 컴퓨터로 복원 되기에 다수의 사용자가 설치를 해도 지워지는 이점이 있다.

 

- PC방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주 목적은 게임이다. 그래서 인기 있는 게임의 경우 미리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각각의 PC에 저장된 하드 디스크, SSD에 모두 설치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며 각각의 PC에 부품을 추가하는 것보다 대용량의 서버 하나를 사는 것이 매우 저렴하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PC방 사장이 해커 조직이나 개인의 영리를 목적으로 고객 정보를 빼돌린다면 고객 입장에서는 어떤 것 때문에 해킹 당했는지 알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고 컴퓨터 내 로그가 남지 않기 때문에 업주의 주 관리 서버에 의존하여 조사를 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16112185045

 

관리 편리하지만 뚫리면 대책 없는 노하드 PC방…위기의 중앙관리 솔루션

#1. 올해 전국 상당수 PC방에서 특정 소프트웨어가 정상 작동하지 않아 전국 상당수 PC방이 영업을 중단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들 PC방은 개별 PC에 운영체제(OS)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고,

it.chosun.com

 

즉, 한번 사고가 나면 모든 게 다 통째로 사고가 나는 것이고
일반 고객 입장에선 증명할 길이 많지 않다는 것이다.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중 하나인 성형(Start Topology)

 

노하드 PC방의 네트워크 구조를 변경하거나 보완하여 보안 솔루션을 추가해 안정적인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 어려운 문제이다. 물리적인 망의 구조를 바꾼다고 해서 보안문제가 완벽하게 해결되는 것도 아니고 계속해서 취약점을 노리는 해커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망형(Mesh Topology)

 

1-2-2 [LAN - 대형학원] 

 

[학원] 자이젤(ZYXEL)_목동학원 유무선 네트워크 구축 사례(스마트학원, 학원, 스마트독서실, 독서

학원 (목동 소재) 고객환경 및 개선사항 ZYXEL에서 구축한 목동에 위치한 학원은 1층, 6층에서 8층까...

blog.naver.com

네트워크에 들어가는 장비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들도 매우 다양하다.

https://m.boannews.com/html/detail.html?idx=85985&kind=3

 

할 수도 없고 안 할 수도 없는 보안 관제 센터 운영의 깜깜한 현실

보안 전략의 핵심 요소로 꼽히는 보안 관제 센터(SOC) 산업이 불필요하게 높은 비용과 수많은 운영 난제들로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즉, 관제를 직접 하는 업체나, 대행 서비스를 주요

m.boannews.com

보안은 참 어려운 이야기이다. 대부분의 IT 사업들의 특성상 보안 문제가 생길 수 밖에 없는데 매일 매일이 수많은 데이터와의 전쟁이다. CCTV를 보고 감시하는 건 사람이 오고 가는 걸 보면 되지만 컴퓨터 안에 수많은 정보들을 어떻게 다 사람이 하나씩 찾아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을까?  쉬운 일이 아니다..

인하대학교 네트워크 구성도

 

세상에는 수많은 네트워크 망이 존재하고 성형, 버스형, 트리형, 링형은 점점 합쳐져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렵다.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세상에는 너무 나도 많은 정보통신기기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작은 범위의 네트워크의 경우 수기로 파악할 수 있지만 수많은 노드가 있는 망이라면 구조를 잡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존에 설계 당시 만들어진 구성도를 기반으로 점검해야 하는데 물리적인 방법이 주가 된다.

 

https://www.kistep.re.kr/board.es?mid=a10206020000&bid=0005&act=view&list_no=43202&tag=&nPage=1

 

데이터 보안 시대에 주목해야 할 미래유망기술은?...KISTEP, 10대 미래유망기술 선정 및 발표 | 보도

KISTEP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www.kistep.re.kr

https://brunch.co.kr/@goldcounteryoon/41

 

아날로그식 일본 회사 답답한 점 6가지

갈라파고스 문화, 일본 | 제가 4년간 일본계 회사에 다니면서 느꼈던 답답한 점 6가지를 뽑아봤습니다. 전해 들으니 소*트뱅*같은 일본 대기업도 수기 장부를 쓴다고 하더라고요. 엄청난 아날로

brunch.co.kr

https://jmagazine.joins.com/monthly/view/334629

 

[최치현의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시 보는 일본 | (7)마지막회] 디지털 시대에도 종이·도장 문화

‘아날로그 대국’에서 ‘비효율 재팬’으로 전락

jmagazine.joins.com

 

이러한 점이 디지털 사회의 단점인데 상대적으로 아날로그 사회에서는 이러한 단점이 없다. 그렇다고 일본에 해킹 사고가 없다는 것은 아니지만 중요한 정보의 경우 아날로그로 처리하는 것이 여전히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인터넷에서 정해진 폰트로 정해진 크기로 블로그를 쓰는 것보다 자신의 손으로 손 글씨를 쓰는 것이 더 감성적인 면이 있는 것처럼 말이다.

 

딱딱한 폰트보다 손글씨의 감성이 느껴지는 폰트들이 더 어울리는 주제가 있다.

 

또 해커 입장에서 정형화된 text data보다 image data를 해석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이며 video는 더 더욱 복잡해 프레임별로 나눠진 이미지에서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 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이것 또한 방법이 있으며 수만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할 수 있다.

 

https://github.com/HuaizhengZhang/Awsome-Deep-Learning-for-Video-Analysis?tab=readme-ov-file#tutorial

 

GitHub - HuaizhengZhang/Awsome-Deep-Learning-for-Video-Analysis: Papers, code and datasets about deep learning and multi-modal l

Papers, code and datasets about deep learning and multi-modal learning for video analysis - GitHub - HuaizhengZhang/Awsome-Deep-Learning-for-Video-Analysis: Papers, code and datasets about deep lea...

github.com

  

그렇다. 분명 우리는 어떤 거대한 네트워크를 만들었는데 너무나도 복잡해서 뭐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산다.
그런데 거기서 문제가 생기면 누군가는 그곳에 뛰어 들어가야 한다. 

 

 

[에스엔에치(주)] 네트워크 엔지니어 경력사원 모집(D-27) - 사람인

에스엔에치(주), 네트워크 엔지니어 경력사원 모집, 경력:경력 1~10년, 학력:대학졸업(2,3년)이상, 연봉:회사내규에 따름 , 마감일:2024-02-21, 홈페이지:snhit.co.kr/

www.saramin.co.kr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3581

 

보안전문가가 되기 위한 첫 스텝, 2023년 보안 관련 자격증 가이드

디지털 전환은 모든 산업 분야를 아우르며 혁신을 가져왔다. 기존 산업에서도 디지털 기술이 본격 활용되면서 보안인력 충원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다. 기업들은 보안인력을 충원하는 데 있

www.boannews.com

 

소규모 무선 통신 체계와 유선 통신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누구나 적은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 하지만 그 안에서 얼마나 복잡한 방식으로 정보가 교환되는 지 알고 습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사실 네트워크 토폴로지 문제는 위와 같이 나오지 않는다. 망의 종류, 망의 특징, 망의 장단점을 암기 하고 있으면 1 문제 정도 나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시험을 위해서 공부하기보다 망과 관련된 상식적인 질문들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글을 쓰게 된 것 같다고 느꼇지만 실제 기출문제를 보니 인터넷 속도, 공유기에 들어가는 기술 및 성능 단위, 네트워크 장비에 대한 문제가 1문제 정도 더 있는 것 같다.

https://blog.naver.com/ffcmc6537/221838204113

 

구석구석 메시 와이파이증폭기 iptTIME Extender-A3MU

청년부보상두루의 '상품리뷰' [頭樓良品] 구석구석 와이파이가 안닿는 곳이 없게! 와이파이증폭...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