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IP 과목
01 OSI 7 계층
02 TCP/IP 계층
03 TCP/IP 계층의 기본 프로토콜
04 TCP/IP 계층의 응용 프로토콜
OSI 7 계층
01 OSI 7 계층(Open System Inter 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 간의 상호 접속
- ISO에서 정한 국제 네트워크 표준이며 서로 다른 네트워크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이론
- 7가지의 계층으로 구분함
- 실제론 TCP/IP로 구현됨
02 계층별 설명
1) 물리 계층
- bit
- 리피터, 허브
디스플레이가 공유되기 때문에 디지털 광고판, 방송 시스템 등에 사용된다고 한다. 랜선, 와이파이만 연결되면 사실 이렇게 까지 할 필요는 없지 않나 싶지만 공용망과 분리된 독립망의 경우, 혹은 디스플레이가 PC가 아니고 다른 거대한 디스플레이일 경우에 필요하다. (디지털 사이니지라고도 한다.)
https://wedisplay.solutions/collab/service/ 이런 곳도 있다. 디지털 현수막과 비슷한 개념이다.
허브는 사실 스위치와 헷갈리는 면이 있다. 예를들어 인터넷 공유기는 여러대의 PC의 IP를 연결하는 허브 역할을 하면서도 스위치 역할을 하기도 하고 라우터의 역할을 한다. 물론 허브만 있다면 인터넷은 작동하지 않는다.
https://healthydoctor.tistory.com/98
공유기와 스위치 허브 차이 정리, 연결 방법
킴닥터가 공유기와 스위치 허브 차이점과 연결 방법을 소개합니다. 인터넷을 여러 대의 컴퓨터에 연결하고 싶을 때에는 유선 공유기를 구매하고 연결한 후 공유기 뒷에 있는 포트를 각 컴퓨터
healthydoctor.tistory.com
2) 데이터 링크 계층
- 브릿지, 스위치
- frame
3) 네트워크 계층
- packet, datagram
- 라우터, layer 3 스위치
L2, L3 스위치는 사실 비슷한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일반 과목에서 배운 IPv4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고 어떻게 전달이 되는지와 관련이 있다.
https://wandoli.blogspot.com/2012/09/iptime-n604m.html
분해.ipTIME 무선공유기 N604M
5GHz지원 무선공유기로 바꾸기 전에 쓰던 ipTIME의 N604M입니다. 뒤에 알파벳차이로 무척이나 헷갈렸던, 시리즈중 하나죠. 사용하는 칩회사차이인데, M은 Ralink라는 업체죠. - ipTIME의 N604M - 잘 사용했
wandoli.blogspot.com
https://www.diamondsystems.com/products/eps24g4x
Managed 28-Port Gigabit Ethernet Switch with 4 10G SFP+ Ports
The EPS-24G4X is a managed Ethernet switch based on Diamond's EPSM-10GX4 switch module. The switch implements all features of the EPSM-10GX4 module, including 24 10/100/1000Mbps copper ports and 4 1/2.5/5/10Gbps SFI ports accessed via SFP+ sockets. Two sof
www.diamondsystems.com
L2 스위치와 L3 스위치의 내부 기판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구성하는 소자의 성능, 기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냥 좀 더 큰 공유기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다.
4) 전송 계층
- record, segment
5) 세션 계층
6) 표현 계층
7) 응용 계층
가 있고 각 계층마다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의 목적이 달라진다. https://wiseworld.tistory.com/entry/23
OSI 7계층 각 계층의 특징과 역할
OSI 7 계층 모델 OSI 모형은 국제표준화기구인 ISO에서 개발한 것으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7 계층으로 나누어 정의했다. 이 모델은 각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구분하기 쉽게
wiseworld.tistory.com
각 계층별로 다루는 것들의 프로젝트를 검색해보면 수도 없이 많은 것들이 나오게 된다. PCB 판을 설계하고 만들고 해당 PCB를 제어하여 어떤 작동하는 기계를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생각할 수도 있을 것 같다. 아두이노 프로젝트를 한번 해보면 알게 될 것이다.
'컴퓨터공학 > 네트워크관리사 2급 필기+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TCP/IP] #2 (0) | 2024.04.25 |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4 (0) | 2024.02.10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3 (1) | 2024.02.04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2 (1) | 2024.01.28 |
네트워크 관리사 2급 필기 [네트워크 일반] #1 (0) | 2024.01.25 |